"지원자 역할 머물러선 안 돼… 주도적 추진과 조례 제정으로 지속성 확보" 촉구
![]() |
| ▲김도훈 의원 행감질의 모습. |
김 의원은 “정조대왕 능행차는 경기도를 대표하는 역사문화 브랜드임에도 불구하고, 경기도가 여전히 ‘지원자’ 역할에 머물러 있다”며 “이제는 도가 중심이 되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책임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행정사무감사에서 “유네스코 등재 추진을 공동협약문에 명문화하라”고 요구했고, 당시 국장이 추진을 약속했으나 1년이 지난 지금까지 협약문은 2018년 버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챙기지 못해 죄송하다”며 “행감 이후 수원·화성 등 지자체와 논의해 등재 추진 협약을 재정비하겠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또 “능행차 도비 지원액이 전년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 것은 행사 규모와 질을 후퇴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내년 본예산에서 반드시 원복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과천 등 역사적 행차 경로에 포함되지 않았더라도 참여 의지가 있는 지자체들이 협의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경기도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국가유산청의 ‘미래 유산 발굴·육성사업’에서 화성시는 선정됐지만, 경기도는 신청조차 하지 않았다”며 “예산과 인력 부족을 이유로 한 책임 회피가 아니라, 도가 주도적으로 공모를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문화체육관광국장은 “도가 직접 신청할 수 있다는 점을 뒤늦게 확인했다”며 “앞으로는 도가 주체가 되어 공모를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또한 김 의원은 “정조대왕 능행차의 유네스코 등재를 위한 용역이 단기 연구에 그치지 말고 학술 세미나, 기록화, 국제 네트워크 구축 등 장기적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도 미래유산 조례가 제정된 만큼, 능행차가 제1호 미래유산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 의원은 “경기도가 유네스코 등재 추진과 예산 복원, 공동협약 재정비에 주체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능행차 지원 조례 제정을 통해 행정 책임이 지속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전남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